2018년 4회 시행한 조경기사 기출문제 입니다.
오타 및 오답이 있을 수 있습니다. 알려주시면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.
조경기사 시험과목은 " 조경사, 조경계획, 조경설계, 조경식재, 조경시공구조학, 조경관리 " 총 6 과목으로 되어 있으며 과목당 40점이상, 평균 60점 이상이면 합격입니다.
아래 링크에서는 2018년 4회 조경기사 기출문제 문제풀이 및 랜덤문제풀이를 직접 해볼수 있습니다.
2018년 4회 시행한 조경기사
조경사
1.
창덕궁 옥류천 주변에 있는 정자가 아닌 것은?
①
청의정
②
농산정
③
농수정
④
취한정
정답 : ③ 농수정
2.
다음 중 일본의 시대별 정원양식이 맞지 않는 것은?
①
침전조 정원 - 평안시대
②
회유임천식 정원 - 겸창시대
③
고산수식 정원 - 실정시대
④
다정 - 나양시대
정답 : ④ 다정 - 나양시대
3.
고려시대 정원에 관한 내용이 기술된 문집이 아닌 것은?
①
동국이상국집
②
목은집
③
운곡시사
④
운림잡저
정답 : ④ 운림잡저
4.
명쾌한 균제미로부터 벗어나 번잡하고 지나친 세부기교에 치우치고 복잡한 곡선, 도금한 쇠붙이 장식, 다채로운 색, 대리석 등을 풍부히 사용한 정원 양식은?
①
프랑스의 르네상스 평면기하학식
②
이탈리아 르네상스 노단건축식
③
르네상스 후기 바로크식
④
중세 고딕식
정답 : ③ 르네상스 후기 바로크식
5.
중국에서 조경에 관계되는 한자의 의미 설명이 잘못된 것은?
①
원(園): 과수류를 심었던 곳으로 울타리가 있는 공간
②
포(圃): 채소를 심거나 기르는 곳
③
원(宛): 짐승을 기르거나 자생하던 울타리가 있는 공간
④
정(庭): 건물이나 울타리에 둘러싸인 평탄한 뜰
정답 : ③ 원(宛): 짐승을 기르거나 자생하던 울타리가 있는 공간
6.
다음 중 중국 정원의 특성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?
①
태호석 등 세부시설에 조석이 많이 사용되었다.
②
자연경관이 수려한 곳에 곡절(曲折)기법을 사용하여 심산유곡을 형성하였다.
③
정원의 포지 포장 재료는 주로 목재를 사용하였다.
④
정원에 차경을 위하여 누창을 조성하였다.
정답 : ③ 정원의 포지 포장 재료는 주로 목재를 사용하였다.
7.
경복궁 교태전 후원을 지칭하는 다른 명칭은?
①
귀거래사(歸去來辭)
②
아미산(蛾眉山)
③
삼신산(三神山)
④
곡수연(曲水宴)
정답 : ② 아미산(蛾眉山)
8.
고대 신들을 위하여 축조한 건축물이나 조형물은 경관적으로 큰 역할을 하였다. 다음 중 신(神)을 위해 조성한 시설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?
①
Hanging Garden
②
Obelisk
③
Ziggurat
④
Funerary Temple of Hat-shepsut
정답 : ① Hanging Garden
9.
연꽃을 군자에 비유한 애련설의 저자는?
①
이태백
②
왕휘지
③
주렴계
④
주희
정답 : ③ 주렴계
10.
일본의 도산(모모야마)시대의 다정(茶庭)을 구성하는 요소로 가장 부적합한 것은?
①
석등(石橙)
②
디딤돌(飛石)
③
수통(水桶)
④
방지(方地)
정답 : ④ 방지(方地)
11.
중국 명나라 원림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?
①
원명원은 서쪽에 있는 이화원과 더불어 황가원림의 대표로 꼽힘
②
북경과 남경 및 소주와 양주 일대를 중심으로 발달됨
③
계성의 [원야], 이어의 [한정우기] 등 원림관련 서적들이 출간됨
④
문화와 예술 활동의 장이자 예술작품의 배경이 됨
정답 : ① 원명원은 서쪽에 있는 이화원과 더불어 황가원림의 대표로 꼽힘
12.
다음 중 근대 조경의 흐름에 있어 적절하지 않은 설명은?
①
미국에서 전원도시(田園都市) 운동은 20C 초에 시작되었다.
②
레드번(Radburn)은 쿨데삭(cul-de-sac)의 원리를 정원이 아닌 단지 계획에 적용한 것이다.
③
뉴욕(New York)의 센트럴파크(Centeral Park)는 죠셉 팩스톤(Joseph Paxton)과 옴스테드(Olmsted)의 공동 작품이다.
④
레치워스(Letchworth) 개발과 웰윈(Welwyn) 조성은 영국의 대표적 전원도시이다.
정답 : ③ 뉴욕(New York)의 센트럴파크(Centeral Park)는 죠셉 팩스톤(Joseph Paxton)과 옴스테드(Olmsted)의 공동 작품이다.
13.
일본의 고산수정원은 어떤 목적에 의하여 조성 되었는가?
①
불고 선종(禪宗)의 영향으로 방이나 마루에서 정숙하게 감상하도록 조성
②
도교사상의 영향으로 위락이나 산책을 위한 실용적인 목적으로 조성
③
불교 정토종(淨土宗)에서 화엄장엄 세계를 구현하는 목적으로 조성
④
신선사상의 목적으로 정숙하게 관조하는 목적으로 조성
정답 : ① 불고 선종(禪宗)의 영향으로 방이나 마루에서 정숙하게 감상하도록 조성
14.
고대 그리스 일반시민의 주택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?
①
가족 공용실을 통해 각 실로 통하는 내향식주택
②
단순하고 기능적이며, 거리의 소음으로부터 격리
③
중정은 포장을 하지 않고 방향성 식물을 식재
④
대리석 분수의 도입
정답 : ③ 중정은 포장을 하지 않고 방향성 식물을 식재
15.
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이탈리아의 정원은?
몬탈또(Montalto) 분수, 빛의 분수(Fountain of Lights), 거인의 분수, 돌고래 분수 등과 같은 정원 시설물을 만들어 놓음 |
①
Villa Lante(란테장)
②
Villa d Este(에스테장)
③
Villa Gamberaia(감베라이아장)
④
Villa Aldobrandini(알도브란디니장)
정답 : ① Villa Lante(란테장)
16.
동양 3국에서 공통적으로 행해지던 곡수연과 관련이 없는 대상지는?
①
한국 경주의 포석정
②
일본 평성궁의 동원
③
중국 숭복궁의 범상정
④
한국 궁남지의 포룡정
정답 : ④ 한국 궁남지의 포룡정
17.
전통담장 조영에 있어 벽돌, 기와 등으로 구멍이 뚫어지게 쌓는 담은?
①
분장(粉牆)
②
곡장(曲墻)
③
화문장(花紋牆)
④
영롱장(玲瓏牆)
정답 : ④ 영롱장(玲瓏牆)
18.
미국 역사상 최초의 수도권 공원계통을 수립한 사람은?
①
찰스 엘리오트(Charles Eliot)
②
프레드릭 로 옴스테드(Frederic Law Olmsted)
③
칼버트 보우(Calvert Vaux)
④
다니엘 번함(Daniel Burnham)
정답 : ① 찰스 엘리오트(Charles Eliot)
19.
원야(園冶)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?
①
흥조론과 원설로 나눠진다.
②
원야의 저자는 문진향(文震享)이다.
③
정원구조물의 그림 설명이 되어 있다.
④
작자가 중국 강남에서의 작정경험을 기초로 했다.
정답 : ② 원야의 저자는 문진향(文震享)이다.
20.
알함브라 궁전의 파티오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?
①
사자의 중정은 중앙에 분수를 두고 +자형으로 수로가 흐르게 한 것으로 사적(私的) 공간기능이 강하다.
②
외국 사신을 맞는 공적(公的)장소에 긴 연못 양편에서 분수가 솟아오르게 한 알베르카 중정이 있다.
③
사이프레스 중정 혹은 도금양의 중정이란 명칭은 그 중정에 식재된 주된 식물의 명칭에서 유래하였다.
④
파티오에 사용된 물은 거울과 같은 반영미(反映美)를 꾀하거나 혹은 청각적인 효과를 도모하되 소량의 물로서 최대의 효과를 노렸다.
정답 : ② 외국 사신을 맞는 공적(公的)장소에 긴 연못 양편에서 분수가 솟아오르게 한 알베르카 중정이 있다.
조경계획
21.
교통 동선계획은 교통량을 파악하고 적절한 교통량과 방향을 설정하는 계획이다. 주거지, 공원, 어린이놀이터 등에 적합한 도로형태에 가장 적합한 것은?
①
위계형
②
격자형
③
미로형
④
환상형
정답 : ① 위계형
22.
Avery(1977)의 자료 중 수지형(樹枝型)의 하천패턴이 형성될 가능성이 가장 높고, 점토의 함량에 따라 변화가 심한 암석 지질은?
①
화강암
②
석회암
③
화산주변
④
사암(砂岩)
정답 : ① 화강암
23.
다음 중 야생동물(wild life)의 서식처(분포)와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는 인자는?
①
지형의 변화
②
식생분포
③
토양분포
④
인공구조물 분포
정답 : ② 식생분포
24.
『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』시행규칙 중 도시공원별 유치거리(A) 및 규모(B)의 기준이 맞는 것은?
①
소공원: (A) 150m 이하, (B) 5백㎡ 이상
②
어린이공원: (A) 200m 이하, (B) 1천㎡ 이상
③
도보권근린공원: (A) 1천m 이하, (B) 3만㎡ 이상
④
도시지역권근린공원: (A) 2천m 이하, (B) 100만㎡ 이상
정답 : ③ 도보권근린공원: (A) 1천m 이하, (B) 3만㎡ 이상
25.
동선계획에서 고려되어야 할 내용과 거리가 먼 것은?
①
부지 내 전체적인 동선은 가능한 막힘이 없도록 계획한다.
②
주변 토지이용에서 이루어지는 행위의 특성 및 거리를 고려하여 적절하게 통행량을 배분한다.
③
기본적인 동선 체계로 균일한 분포를 갖는 격자형과 체계적 질서를 가지는 위계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.
④
도심지와 같이 고밀도의 토지이용이 이루어지는 곳은 위계형 동선이 효율적이다.
정답 : ④ 도심지와 같이 고밀도의 토지이용이 이루어지는 곳은 위계형 동선이 효율적이다.
26.
공장조경 식재계획 수립의 방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?
①
중부지방의 석유화학지대에는 화백, 은행나무, 양버즘나무를 식재한다.
②
성장 속도가 빠르고 대량공급이 가능한 수종을 선택한다.
③
공장과의 조화를 위해 수종선정은 경관성에 중심을 둔다.
④
자연스럽게 천연갱신이 되는 것을 선정한다.
정답 : ③ 공장과의 조화를 위해 수종선정은 경관성에 중심을 둔다.
27.
조경계획 과정에서 시설규모 결정은 매우 중요하며 수요예측에 따라서 결정된다. 방법유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?
①
단순휘귀분석 - 정성적 예측
②
여행발생분석 - 정성적 예측
③
텔파이분석 - 정량적 예측
④
중력모형분석 - 정량적 예측
정답 : ④ 중력모형분석 - 정량적 예측
28.
『 자연공원법 시행령』상 공원기본계획의 내용에 포함되지 않는 사항은?
①
자연공원의 축(軸)과 망(網)에 관한 사항
②
자연공원의 자원보전·이용 등 관리에 관한 사항
③
자연공원의 관리목표 설정에 관한 사항
④
환경부장관이 자연공원의 관리를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항
정답 : ① 자연공원의 축(軸)과 망(網)에 관한 사항
29.
자연과학적 근거에서 인간의 환경적응의 문제를 파악하여 새로운 환경의 창조에 기여하고자 하는 조경계획의 접근 방법은?
①
생태학적 접근
②
형식미학적 접근
③
기호학적 접근
④
현상학적 접근
정답 : ① 생태학적 접근
30.
GIS의 자료처리 및 구축을 위한 전반적인 작업과정으로 옳은 것은?
①
자료입력→자료수집→자료조작 및 분석→자료처리→출력
②
자료수집→자료입력→자료처리→자료조작 및 분석→출력
③
자료수집→자료입력→출력→자료처리→자료조작 및 분석
④
자료수집→자료조작 및 분석→자료처리→자료입력→출력
정답 : ② 자료수집→자료입력→자료처리→자료조작 및 분석→출력
31.
다음 자연공원법 상의 해안지역의 범위에 맞는 것은?
해안: 『 연안관리법』제 2조 제2호에 따른 연안해역의 육지쪽 경계선으로부터 ()미터까지의 육지지역 |
①
500
②
1000
③
3000
④
5000
정답 : ② 1000
32.
주어진 시각적 선호모델과 독립변수들의 값을 사용한 특정 지역의 시각적 선호도 값은?
(1) 모델: Y = -2 + X1 + 3X2 - X3 Y: 시각적 선호도 X1: 식생지역의 경계선 길이 X2: 물과 관련된 지역의 면적 X3: 건물이 차지하는 면적 (2) 이 지역의 식생지역의 경계선 길이: 3, 물과 관련된 지역의 면적: 5, 건물이 차지하는 면적: 2 |
①
4
②
6
③
10
④
14
정답 : ④ 14
33.
이용 후 평가가 도입된 이후 설계 방법론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?
①
생태계의 원리를 이해함을 말한다.
②
자연 및 인문환경의 철저한 분석을 의미한다.
③
기본계획 보고서 제작을 통해 바람직한 미래상의 청사진적 제시를 말한다.
④
계획수립, 집행, 결과 등을 평가를 토대로 한환류(Feedback)를 포함한 전과정을 말한다.
정답 : ④ 계획수립, 집행, 결과 등을 평가를 토대로 한환류(Feedback)를 포함한 전과정을 말한다.
34.
다음 중 레크레이션 계획의 접근 방법 분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?
①
자원형
②
심리형
③
행태형
④
혼합형
정답 : ② 심리형
35.
인간 행동의 움직임을 부호화한 표시법(motation symbols)을 창안하여 설계에 응용한 사람은?
①
Ian L.McHang
②
Philip Thiel
③
Laurence Halprin
④
Christopher J.Jones
정답 : ③ Laurence Halprin
36.
주차장의 주차구획 기준은 평행주차형식과 그 외의 경우로 구분된다. 평행주차형식 외의 경우 주차장의 주차구획 최소 기준이 맞는 것은?(단, 규격 표현은 너비×길이로 나타낸다.)
①
일반형: 2.5m×5.0m
②
장애인전용: 3.3m×5.0m
③
확장형: 2.8m×5.0m
④
경형: 2.1m×3.5m
정답 : ② 장애인전용: 3.3m×5.0m
37.
시몬스(J.O.Simonds)가 제시하고 있는 공간구성의 4가지 요소 중 제3차 요소에 해당하는 것은?
①
계절
②
담장
③
도로
④
수목
정답 : ④ 수목
38.
다음 중 생태·경관 보전지역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?
①
생태·경관관리보전구역
②
생태·경관핵심보전구역
③
생태·경관완충보전구역
④
생태·경관전이보전구역
정답 : ① 생태·경관관리보전구역
39.
다음 중 아파트 단지 내 울타리 조성 방법 중 자연스러운 경관, 둔덕과 조화된 추가된 높이, 한번 설치 후 유지관리비용 절감이 이점이 있는 방법은?
①
벽돌쌓기
②
수목으로 식재하기
③
목재울타리 만들기
④
콘크리트 울타리 만들기
정답 : ② 수목으로 식재하기
40.
생태연못 및 습지의 계획지침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?
①
되도록 장축 방향은 동서방향으로 배치한다.
②
호안 모양은 내부면적대비 주연길이가 큰 형태로 조성한다.
③
소형의 다수보다는 대형의 소수가 바람직하다.
④
호안 사면은 1:3 ~ 1:5 이하의 완경사를 이루도록 한다.
정답 : ③ 소형의 다수보다는 대형의 소수가 바람직하다.
조경설계
41.
다음 중 유희시설 설계 시 고려할 사항이 아닌 것은?
①
평탄지, 경사지 등의 지형특성에 맞는 이용을 고려한다.
②
편리성, 예술성보다 안전성을 더욱 고려해야 한다.
③
놀이기구는 가능한 한 다양하게 많은 기구를 배치하도록 한다.
④
이용계층(유아, 소년 등)에 맞는 놀이시설을 배치하도록 한다.
정답 : ③ 놀이기구는 가능한 한 다양하게 많은 기구를 배치하도록 한다.
42.
조경설계기준상 『경사로 』설계 내용으로 옳은 것은?
①
휠체어 사용자가 통행할 수 있는 경사로의 유효폭은 100cm가 적당하다.
②
바닥표면은 휠체어가 잘 미끄러질 재료를 선택하고, 울퉁불퉁하게 마감한다.
③
연속경사로의 길이 50m 마다 1.2m×3m이상의 수평면으로 된 참을 설치하여야 한다.
④
지형조건이 합당한 경우 장애인 등의 통행이 가능한 경사로의 종단기울기는 1/18 이하로 한다.
정답 : ④ 지형조건이 합당한 경우 장애인 등의 통행이 가능한 경사로의 종단기울기는 1/18 이하로 한다.
43.
조경공간의 보도에 포장면 기울기 설명 중 ( )안에 알맞은 것은?
- 보도용 포장면의 종단기울기가 ( )% 이상인 구간의 포장은 미끄럼방지를 위하여 거친 면으로 마무리된 포장재료를 사용하거나 거친 면으로 마감처리 한다. - 투수성 포장인 경우에는 횡단경사를 주지 않을 수 있다. |
①
2
②
3
③
4
④
5
정답 : ④ 5
44.
다음 색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?
①
파랑 계통은 한색이고, 진출색·팽창색이다.
②
파랑 계통은 난색이고, 후퇴색·팽창색이다.
③
파랑 계통은 난색이고, 진출색·팽창색이다.
④
파랑 계통은 한색이고, 후퇴색·팽창색이다.
정답 : ③ 파랑 계통은 난색이고, 진출색·팽창색이다.
45.
황금분할(golden section)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?
①
피보나치(Fibonacci) 급수와는 유사하다.
②
황금비의 항수는 1+
또는
구형으로 작도할 수 있다.
③
황금분할 비율을 응용으로 달팽이 등의 성장곡선을 작도 할 수 있다.
④
하나의 선분을 대소 두개의 선으로 나눌 때 큰 것과 작은 것의 길이의 비가 전체와 큰 것의 길이 비와 동일하다.
정답 : ② 황금비의 항수는 1+
또는
구형으로 작도할 수 있다.
46.
다음 중 시각적 선호를 결정짓는 변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?
①
물리적 변수
②
사회적 변수
③
상징적 변수
④
추상적 변수
정답 : ② 사회적 변수
47.
다음 설명에 적합한 혼색 방법은?
팽이나 레코드판과 같은 회전원판을 일정면적비의 부채꼴로 나누어 칠해 회전시키면, 표면의 색들은 혼색되어 하나의 새로운 색이 보이게 되며, 이 색은 밝기와 색에 있어서 원래 각 색지각의 평균값으로 나타난다. |
①
색광혼색
②
감법혼색
③
중간혼색
④
병치가법혼색
정답 : ③ 중간혼색
48.
인간 척도(human scale)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?
①
인간을 기준으로 대상을 측정하는 경우를 말한다.
②
주위에 인간 척도를 가진 대상이 없는 경관은 불안감을 준다.
③
관찰자의 속도가 빠르면 세밀한 경관요소는 보이지 않는다.
④
인간보다 작은 척도가 많은 공간은 웅장해 보인다.
정답 : ④ 인간보다 작은 척도가 많은 공간은 웅장해 보인다.
49.
다음 기하학적 형태 주제 중 그 상징성과 의마가 부드러움, 혼합, 연결, 조화를 나타내는 것은?
①
45˚/90˚ 각의 형태
②
원 위의 원형
③
호와 접선형
④
원의 분할형
정답 : ③ 호와 접선형
50.
다음 환경미학과 관련된 설명 중 틀린 것은?
①
주로 예술작품을 연구한다고 볼 수 있다.
②
미학과 환경미학의 관계는 예술가와 환경설계가의 관계로써 설명될 수 있다.
③
종합적으로 미적인 지각과 인지 및 반응에 관계되는 이론 및 응용을 종합적으로 연구한다.
④
환경미학에서도 보다 종합적인 미적경험과 반응에 관심을 두며, 현실적인 환경문제 해결을 지향한다.
정답 : ① 주로 예술작품을 연구한다고 볼 수 있다.
51.
경관분석 시 경관 통제점의 선정 기준에 적합하지 않는 것은?
①
주요 도로 및 산책로
②
이용밀도가 높은 장소
③
주변지형 중 가장 표고가 높은 곳
④
특별한 가치가 있는 경관을 조망하는 장소
정답 : ③ 주변지형 중 가장 표고가 높은 곳
52.
다음 중 조경설계기준상의 『 조경석 놓기』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?
①
돌을 묻는 깊이는 조경석 높이의 1/4이 지표선 아래로 묻히도록 한다.
②
단독으로 배치할 경우에는 돌이 지닌 특징을 잘 나타낼 수 있도록 관상위치를 고려하여 배치한다.
③
3석을 조합하는 경우에는 삼재미(천지인)의 원리를 작용하여 중앙에 천(중심석), 좌우에 각각 지, 인을 배치한다.
④
5석 이상을 배치하는 경우에는 삼재미의 원리 외에 음양 또는 오행의 원리를 적용하여 각각의 돌에 의미를 부여한다.
정답 : ① 돌을 묻는 깊이는 조경석 높이의 1/4이 지표선 아래로 묻히도록 한다.
53.
할프린(halprin, 1965)에 의해서 수행된 연속적 경관구성에 관한 연구의 내용이라고 볼 수 없는 것은?
①
건물, 수목, 지형 등의 환경적 요소를 부호화하여 기록
②
공간형태보다는 시계에 보이는 사물의 상대적 위치를 기록
③
장소 중심적인 기록 방법이며, 시각적 요소가 첨가
④
폐쇄성이 비교적 낮은 교외지역이나 캠퍼스 등에 적용이 용이
정답 : ③ 장소 중심적인 기록 방법이며, 시각적 요소가 첨가
54.
형광등 아래서 물건을 고를 때 외부로 나가면 어떤 색으로 보일까 망설이게 된다. 이처럼 조명광에 의하여 물체의 색을 결정하는 광원의 성질은?
①
색온도
②
발광성
③
연색성
④
색순응
정답 : ③ 연색성
55.
독립색재의 평면적인 구성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?
①
수목의 전체적인 형태가 아름답고 수피, 잎, 꽃의 색깔이나 질감이 우수하고 무게감이 있는 수목을 독립적으로 식재하는 방법을 독립식재라 한다.
②
지그재그식으로 어긋나게 식재하는 교호식재와 반원형식재, 원형식재는 열식의 응용형태로 식재 폭을 넓히기 위해 변화를 주기 위함이다.
③
군식은 식재기능에 따라 규칙적으로 수목을 배열하는 정형식 군식과 자연스런 모습의 군락을 형성하게 하는 자연형 군식을 나누어 생각할 수 있다.
④
자연형 군식의 기법은 양적인 식재공간을 조성하면서 엄숙하고 질서정연한 분위기를 조성할 때에 사용하는 수법으로 식재수종, 간격에 따라 군식 된 공간의 느낌이 달라질 수 있다.
정답 : ④ 자연형 군식의 기법은 양적인 식재공간을 조성하면서 엄숙하고 질서정연한 분위기를 조성할 때에 사용하는 수법으로 식재수종, 간격에 따라 군식 된 공간의 느낌이 달라질 수 있다.
56.
다음 중 자연의 이미지를 형태화하기 위한 방법에 해당하는 것은?
①
직해
②
위트
③
유사성
④
표절
정답 : ③ 유사성
57.
다음 투상도의 평면도로 가장 적합한 것은?(단, 제 3각법으로 도시하였다.)
①

②

③

④

정답 : ②

58.
조경설계기준상의 쓰레기통 설치기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?
①
내구성 있는 재질을 사용하거나 내구성 있는 표면마감 방법으로 설계한다.
②
각 단위공간 마다 배치할 필요는 없고, 단위 공간 몇 개를 조합하여 그 중간에 1개소 설치한다.
③
각 단위공간의 의자 등 휴게시설에 근접시키되, 보행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고 수거하기 쉽게 배치한다.
④
설계 대상공간의 휴게공간·운동공간·놀이공간·보행공간과 산책로 등 보행동선의 결절점, 관리사무소·상점 등의 건물과 같이 이용량이 많은 지점의 적정위치에 배치한다.
정답 : ② 각 단위공간 마다 배치할 필요는 없고, 단위 공간 몇 개를 조합하여 그 중간에 1개소 설치한다.
59.
인공지반에 자연토양 사용 시 식재된 식물에 필요한 최소 생육 토심이 틀린 것은?(단, 배수경사는 1.5~2.0%로 한다.)
①
교목: 70cm 이상
②
소관목: 30cm 이상
③
대관목: 45cm 이상
④
잔디 및 초화류: 10cm 이상
정답 : ④ 잔디 및 초화류: 10cm 이상
60.
다음 중 경관구성 상 랜드마크(landmark)적 성격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?
①
에펠탑
②
어린이대공원
③
남대문
④
피라미드
정답 : ② 어린이대공원
조경식재
61.
다음 [보기]의 특징을 갖는 수종은?
- 침엽은 2개씩 나오고 길이 6~12cm이다. - 수피는 붉은 색이고, 뿌리는 심근성이다. - 생장속도가 느린 관목성으로 악센트 식재나 유도식재 등으로 널리 사용된다. - 학명: Pinus densiflora for. multicaulis |
①
곰솔
②
금송
③
반송
④
잣나무
정답 : ③ 반송
62.
다음 벤트그라스(Bentgrasses)에 관한 설명이 틀린 것은?
①
불완전 포복형이지만 포복력이 강한 포복경을 지표면으로 강하게 뻗는다.
②
다른 잔디류에 비하여 답압에 매우 강하여, 많이 이용될지라도 그 피해가 적은 편이다.
③
호광성 잔디로 그늘에서는 자랄 수 없으며 특히 건조한 지역에서는 자주 관수를 해 주어야 한다.
④
한지형 잔디로 여름철에는 잘 자라지 못하며 병해가 많이 발생하나 서늘할 때는 그 생육이 왕성한 편이다.
정답 : ② 다른 잔디류에 비하여 답압에 매우 강하여, 많이 이용될지라도 그 피해가 적은 편이다.
63.
거친 돌 조각물을 더욱 돋보이게 하기 위한 배경식재로 가장 적합한 것은?
①
큰 잎이 넓은 간격으로 소생하는 수종
②
작은 잎이 넓은 간격으로 소생하는 수종
③
작은 잎이 조밀하게 밀생하는 수종
④
잎이 크고 가시가 있는 수종
정답 : ③ 작은 잎이 조밀하게 밀생하는 수종
64.
환경영향평가 항목 중 식생 조사를 할 때 위성 데이터를 활용하면 얻을 수 있는 유리한 점이 아닌 것은?
①
광역성
②
동시성
③
사실성
④
주기성
정답 : ③ 사실성
65.
다음 중 여름(6~9월)에 꽃의 향기를 맡을 수 없는 식물은?
①
치자나무(Gardenia jasminoides)
②
함박꽃나무(Magnolia sieboldii)
③
인동덩굴(Lonicera japonica)
④
서향(Daphne odora)
정답 : ④ 서향(Daphne odora)
66.
첨가제에 의한 토양 개량공법 중 물리성의 개량 방법이 아닌 것은?
①
펄라이트 첨가
②
이탄이끼 첨가
③
수피, 톱밥 첨가
④
석회 첨가
정답 : ④ 석회 첨가
67.
다음 중 생리적 기작에서 광보상점(혹은 광포화점)이 가장 낮은 수종은?
①
버드나무
②
금송
③
무궁화
④
소나무
정답 : ② 금송
68.
벽면녹화 설계의 일반사항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?
①
벽면녹화 방법은 등반형, 하수형, 기반조성형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.
②
에너지 절약, 구조물 보호, 반사광 방지 등의 기능적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.
③
식물의 생육은 벽면의 방위(방향)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.
④
기반조성형은 식재기반으로부터 식물을 늘어뜨려 피복하는 방법이다.
정답 : ④ 기반조성형은 식재기반으로부터 식물을 늘어뜨려 피복하는 방법이다.
69.
다음 참나무속(屬) 중 잎 뒷면에 성모(星毛)가 밀생하고, 잎이 대형이며 시원하고, 야성적인 미가 있어 자연풍치림 조성에 적당한 수종은?
①
굴참나무(Quercus variabilis)
②
상수리나무(quercus acutissima)
③
졸참나무(Quercus serrata)
④
떡갈나무(Quercus dentata)
정답 : ④ 떡갈나무(Quercus dentata)
70.
카탈라제(catalase)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?
①
탄수화물을 환원시키는 효소이다.
②
활동이 클수록 영양생장이 활발해진다.
③
세포 내 호흡작용을 억제하는 작용을 한다.
④
전자(electron)의 수용체 역할을 하는 특수 효소이다.
정답 : ④ 전자(electron)의 수용체 역할을 하는 특수 효소이다.
71.
흉고 직경이 10cm인 나무의 근원 직경이 흉고 직경보다 2cm 더 컸다면 이 나무의 근원부 둘레는 얼마인가?
①
20.0cm
②
24.0cm
③
31.4cm
④
37.7cm
정답 : ④ 37.7cm
72.
다음 중 꽃 색이 다른 수종으로 연결된 것은?
①
백목련(Magnolia denudata Desr)
때죽나무(Styrax japonicus Siebold & Zucc.)
때죽나무(Styrax japonicus Siebold & Zucc.)
②
미선나무(Abeliophyllum distichum Nakai)
마가목(Sorbus commixta Hedl.)
마가목(Sorbus commixta Hedl.)
③
풍년화(Hamamelis japonica Siebold & Zucc.)
생강나무(Lindera obtusiloba Blume)
생강나무(Lindera obtusiloba Blume)
④
모감주나무(Koelreuteria paniculata Laxmann)
채진목(Amelanchier asiatica Endl. ex Walp.)
채진목(Amelanchier asiatica Endl. ex Walp.)
정답 : ④ 모감주나무(Koelreuteria paniculata Laxmann)
채진목(Amelanchier asiatica Endl. ex Walp.)
채진목(Amelanchier asiatica Endl. ex Walp.)
73.
목본식물에 기생하는 외생균근을 형성하는 수목이 아닌 것은?
①
일본잎갈나무(Larix kaempferi)
②
고로쇠나무(Acer pictum)
③
자작나무(Betula platyphylla)
④
너도밤나무(Fagus engleriana)
정답 : ② 고로쇠나무(Acer pictum)
74.
은행나무(Ginkgo biloba L.)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?
①
은행나무과(科)이다.
②
낙엽침엽교목이다.
③
암수한그루이고 꽃은 5월경에 편다.
④
회백색의 나무껍질은 세로로 깊이 갈라진다.
정답 : ③ 암수한그루이고 꽃은 5월경에 편다.
75.
수목의 이식 적기는 수종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다. 다음 중 이식 시기와 관련된 설명으로 부적합한 것은?
①
낙엽활엽수 중 이른 봄에 개화하는 종류는 전년도의 11~12월 중에 이식을 끝마쳐야 한다.
②
가을 이식의 경우 낙엽이 진 후 아직 토양이 얼기 전의 기간을 이용할 수 있다.
③
상록활엽수는 한국과 같이 겨울이 추울 경우 휴면을 고려할 때 봄 이식 보다는 가을 이식이 유리하다.
④
가을철 낙엽이 지기 시작하는 늦가을부터 봄철 새싹이 나오는 이른 봄까지를 휴면기라고 하며, 이때가 이식적기이다.
정답 : ③ 상록활엽수는 한국과 같이 겨울이 추울 경우 휴면을 고려할 때 봄 이식 보다는 가을 이식이 유리하다.
76.
옥상정원(屋上庭圓)의 계획 시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내용이 아닌 것은?
①
토양, 수목의 무게 등 하중의 계산
②
관수와 배수 그리고 방수관계
③
전체 건물의 건축계획, 구조계획, 기계설비 계획과의 상호 연관성
④
도시환경 및 기후조절 문제에의 기여성
정답 : ④ 도시환경 및 기후조절 문제에의 기여성
77.
다음 중 자연풍경식 식재 수법으로 많이 이용되는 형식은?
①
정삼각형식
②
이등변삼각형식
③
일직선의 3본형형식
④
부등변삼각형식
정답 : ④ 부등변삼각형식
78.
사고방지를 위한 식재 중 ‘명암순응식재’의 설명으로 부적합한 것은?
①
중앙분리대가 넓을 경우 교목의 식재도 가능하다.
②
터널 주위의 명망을 서서히 바꿀 목적으로 식재한 것이다.
③
터널입구로부터 200~300m 구간의 노견과 중앙분리대에 낙엽교목을 식재한다.
④
터널에서의 거리에 따라 밝기를 조절하기 위해 식재밀도의 변화를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.
정답 : ③ 터널입구로부터 200~300m 구간의 노견과 중앙분리대에 낙엽교목을 식재한다.
79.
식물의 줄기는 단독 또는 잎과 함께 그 모양이 달라지는 경우가 있는데, 다음 설명은 어떤 형태인가?
잎이 육질화되어 짧은 줄기의 주위에 밑생하는 것으로서 육질의 인편이 기왓장처럼 포개진 것과 바깥쪽의 넓은 인편이 속의 것을 둘러싸고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.
|
①
지하경(rhizome)
②
인경(bulb)
③
구경(corm)
④
괴경(tuber)
정답 : ② 인경(bulb)
80.
식물명명의 기본원칙과 관련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?
①
분류군의 학명은 선취권에 따른다.
②
학명은 라틴어화 하여 표기한다.
③
분류군의 명명은 표본이 명명기본이 된다.
④
식물의 학명은 동물의 학명과 관계가 있다.
정답 : ④ 식물의 학명은 동물의 학명과 관계가 있다.
조경시공구조학
81.
정지설계에서 가장 불필요한 도면은?
①
기본도
②
개념도
③
경사분석도
④
지질도와 토양도
정답 : ② 개념도
82.
일반적으로 강은 탄소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비중, 열팽창 계수, 열전도율, 비열, 전기저항 등에 영향을 미친다.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?
①
압축강도는 거의 같다.
②
굴곡성은 탄소량이 적을수록 작아진다.
③
탄소량의 증가에 따라 인장강도, 경도는 증가한다.
④
탄소량의 증가에 따라 신율, 수축율은 감소한다.
정답 : ② 굴곡성은 탄소량이 적을수록 작아진다.
83.
토지이용도별 기초유출계수의 표준값 중 표면 형태가 『잔디, 수목이 많은 공원 』에 해당하는 계수 값은?
①
0.10~0.30
②
0.05~0.25
③
0.20~0.40
④
0.40~0.60
정답 : ② 0.05~0.25
84.
포졸란(pozzolan) 반응의 특징이 아닌 것은?
①
블리딩이 감소한다.
②
작업성이 좋아진다.
③
초기강도와 장기강도가 증가한다.
④
발열량이 적어 단면이 큰 대형 구조물에 적합하다.
정답 : ③ 초기강도와 장기강도가 증가한다.
85.
건설공사에 사용되는 『 선급금』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?
①
공사가 완공되어 계약한 공사대금을 발주자가 지불하는 금액이다.
②
정해진 공사기간 내에 공사를 완성하지 못했을 때 도급자가 발주자에게 납부하는 금액이다.
③
공사가 진행되면서 시공이 완성된 부분에 대해 도급자에게 주기적으로 지급하는 대금이다.
④
공사계약이 체결되었을 때 시공 준비를 위해 계약금액의 일정률을 발주자로부터 지급받는 금액이다.
정답 : ④ 공사계약이 체결되었을 때 시공 준비를 위해 계약금액의 일정률을 발주자로부터 지급받는 금액이다.
86.
건설공사의 시방서 기재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?
①
건물인도의 시기
②
재료의 종류 및 품질
③
재료에 필요한 시험
④
시공방법의 정도 및 완성에 관한 사항
정답 : ① 건물인도의 시기
87.
모멘트(moment)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?
①
모멘트란 힘의 어느 한 점에 대한 회전 능률이다.
②
모멘트 작용점으로부터 힘까지의 수선거리를 모멘트 팔이라 한다.
③
회전방향이 시계방향일 때의 모멘트 부호는 정(+)으로 한다.
④
크기와 방향이 같고 작용선이 평행한 한 쌍의 힘을 우력이라 한다.
정답 : ④ 크기와 방향이 같고 작용선이 평행한 한 쌍의 힘을 우력이라 한다.
88.
조경공사 현장에서 공정관리를 위해 사용되는 기성고 공정곡선에서 A,B,C,D의 공정현황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?
①
A: 예정공정보다 실적공정이 훨씬 진척되어 있으나 공정관리의 문제점을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.
②
B: 예정공정보다 실적공정이 다소 낮으나 허용한계 하한이내이므로 정상적인 범위에 해당한다.
③
C: 예정공정보다 실적공정이 훨씬 낮아 허용한계 하한을 벗어나므로 공정관리의 위기상황이다.
④
D: 예정공정보다 실적공정이 낮으나 허용한계 하한에 있으므로 공정관리에 최적화되어 있다.
정답 : ④ D: 예정공정보다 실적공정이 낮으나 허용한계 하한에 있으므로 공정관리에 최적화되어 있다.
89.
표준길이보다 3mm 늘어난 50m 테이프로 정사각형의 어떤 지역을 측량하였더니, 면적이 250000㎡이었다. 이 때의 실제면적은 얼마인가?
①
250030㎡
②
260040㎡
③
270050㎡
④
280040㎡
정답 : ① 250030㎡
90.
그림과 같이 외팔보에 하중이 작용할 때 전단력선도로 옳은 것은?
①

②

③

④

정답 : ②

91.
다음 그림에서와 같은 평행력에 있어서 P1, P2, P3, P4의 협력의 위치는 O점에서의 몇 m 거리에 있겠는가?
①
5.4m
②
5.7m
③
6.0m
④
6.4m
정답 : ③ 6.0m
92.
수목 식재공사에서 지주목을 설치하지 않는 기계시공은 식재품의 몇 %를 감하는가?
①
10%
②
20%
③
25%
④
30%
정답 : ② 20%
93.
어느 지역 토양의 공극률(porosity) 측정을 위해 토양 60cm3을 채취하여 고형입자 부피와 수분 부피를 측정하였더니 각각 36cm3와 12cm3였다. 이 직역 토양의 공극률(%)은?
①
10%
②
20%
③
30%
④
40%
정답 : ④ 40%
94.
면적을 계산하는 구적기(Planimeter)의 사용 방법으로 틀린 것은?
①
구적계의 상수를 미리 계산하는 것이 좋다.
②
상하좌우의 이동이 비슷하게 평면을 잡는 것이 좋다.
③
이론적으로 많은 회수의 측정을 할수록 계산이 정확해진다.
④
정방형보다는 세장한 곡선부의 측정에서 정밀도가 높아진다.
정답 : ④ 정방형보다는 세장한 곡선부의 측정에서 정밀도가 높아진다.
95.
등고선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?
①
강우 시 배수방향은 등고선에 수직방향이다.
②
기존등고선은 실선, 계획등고선은 점선으로 표시한다.
③
환경사지에서는 등고선 사이의 수평거리가 일정하다.
④
요(
, Concave) 경사지에서는 높은 쪽으로 갈수록 등고선 사이의 수평거리가 더 넓다.

정답 : ① 강우 시 배수방향은 등고선에 수직방향이다.
96.
한중콘크리트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?
①
저열시멘트를 사용하는 것을 표준으로 한다.
②
재료를 가열할 경우, 물 또는 시멘트를 가열하는 것으로 한다.
③
물-시멘트 비가 작아지기 때문에, AE감수제 사용을 가급적 피해야 한다.
④
타설할 때의 콘크리트 온도는 구조물의 단면치수, 기상조건 등을 고려하여 5~20℃의 범위에서 정한다.
정답 : ④ 타설할 때의 콘크리트 온도는 구조물의 단면치수, 기상조건 등을 고려하여 5~20℃의 범위에서 정한다.
97.
어느 토양 구조의 양단면적이 A1=100㎡, A2=200㎡이고, 중앙단면적은 120㎡이다. 양단면간의 거리 L=10m일 때, 양단면적평균법(Q), 중앙단면적법(W), 각주공식(E)에 의한 토적(㎥)의 조합으로 옳은 것은?
①
Q: 1200, W: 1300, E: 1400
②
Q: 1300, W: 1400, E: 1500
③
Q: 1400, W: 1300, E: 1600
④
Q: 1500, W: 1200, E: 1300
정답 : ④ Q: 1500, W: 1200, E: 1300
98.
미국농무부 기준의 거친 모래(조사) 굵기는?
①
0.05~0.002mm
②
0.1~0.05mm
③
1~0.5mm
④
2.0~1.0mm
정답 : ③ 1~0.5mm
99.
배수관망의 부설방법 중 적합하지 않은 것은?
①
배수관내의 마찰저항을 줄이기 위해 가급적 등고선과 직교하지 않게 부설한다.
②
배수지역이 광대하여 배수관망을 한 곳으로 집중시키기 곤란할 경우 방사식 관망부설법을 사용한다.
③
지선을 다수 배치하여 처리하는 것보다 간선을 많이 배치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다.
④
지형에 순응하여 자연 유하선을 따라 관을 부설한다.
정답 : ③ 지선을 다수 배치하여 처리하는 것보다 간선을 많이 배치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다.
100.
벽돌 외벽 시공시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?
①
가로줄눈의 충전도
②
모르타르의 접착강도
③
세로줄눈의 충전도
④
벽체의 수직·수평도
정답 : ③ 세로줄눈의 충전도
조경관리
101.
질산태질소 화합물에 산성비료를 배합하면 이 때의 반응은?
①
질산으로 휘발된다.
②
조해성이 증가된다.
③
암모니아로 휘발된다.
④
암모니아로 환원된다.
정답 : ① 질산으로 휘발된다.
102.
토양의 질산화작용(nifrification)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?
①
토양 중에서 주로 미생물이나 고등식물에 의하여 일어난다.
②
광질산화작용은 미생물에 의한 작용없이 화학적 작용에 의한 것이다.
③
질산화작용은 수분함량이 과도할 때 왕성하며, 공기의 유통이 좋을 때 저해된다.
④
토양 중 또는 비료로서 토양에 사용되는 암모늄태질소가 산화되어 질산태질소로 변하는 것이다.
정답 : ③ 질산화작용은 수분함량이 과도할 때 왕성하며, 공기의 유통이 좋을 때 저해된다.
103.
다음 중 회양목명나방의 설명이 틀린 것은?
①
유충이 거미줄을 토하여 잎을 묶고 그 속에서 잎을 식해한다.
②
포식성 천적인 무당벌레류, 풀잠자리류, 거미류 등을 보호한다.
③
연 2회 발생하나 3회 발생하기도 하며, 유충으로 월동한다.
④
대개 10월 상순경부터 피해가 심하게 나타나며 가해부위에서 번데기가 된다.
정답 : ④ 대개 10월 상순경부터 피해가 심하게 나타나며 가해부위에서 번데기가 된다.
104.
주요 조경시설의 대표적인 중요 관리항목과 보수방법으로 가장 부적합한 것은?
①
표지판 - 도장의 퇴색 - 재도장
②
음수전 - 배수구의 막힘 - 이물질 제거
③
휴지통 - 수거 횟수 및 수거차량의 선정 - 수거계획의 수립
④
벤치, 야외탁자 - 주변의 물고임 방지 - 포장재료의 교체
정답 : ④ 벤치, 야외탁자 - 주변의 물고임 방지 - 포장재료의 교체
105.
농약의 사용법에 의한 약해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?
①
근접살포에 의한 약해
②
동시 사용으로 인한 약해
③
불순물 혼합에 의한 약해
④
섞어 쓰기 때문에 일어나는 약해
정답 : ③ 불순물 혼합에 의한 약해
106.
공사 현장에서의 부주의에 의한 사고방지대책 중 정신적 대책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?
①
적성 배치
②
스트레스 해소 대책
③
주의력 집중훈련
④
표준작업의 습관화
정답 : ④ 표준작업의 습관화
107.
수목관리를 할 때에 수형의 전체 모양을 일정한 양식에 따라 다듬는 작업은?
①
정자(整姿, trimming)
②
정지(整枝, training)
③
전제(剪除, trailing)
④
전정(剪定, pruning)
정답 : ① 정자(整姿, trimming)
108.
다음 설명하는 파손의 형태는?
아스팔트량의 과잉이나 골재의 입도불량 즉, 아스팔트 침입도가 부적합한 역청재료를 사용하였을 때 나타나며 연질의 아스팔트 사용 및 텍코트의 과잉 사용 때 발생한다. |
①
균열
②
국부적 침하
③
박리
④
표면연화
정답 : ④ 표면연화
109.
주민참가에 의한 공원관리 활동 내용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?
①
제초, 청소작업
②
사고, 고장 등을 관리주체에 통보
③
레크레이션 행사의 개최
④
전정, 간벌작업
정답 : ④ 전정, 간벌작업
110.
다음 설명의 ( )안에 적합한 용어는?
잡초 개개종의 ( )는 상대적 개체수와 상대적 건물중을 합하여 2로 나눈 값이다. |
①
우점도
②
다양도
③
유사도
④
비유사성계수
정답 : ① 우점도
111.
잔디 녹병(Rust)의 방제대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?
①
토양 산성화를 방지할 것
②
Rough지역에 잔디의 적정예초 높이를 지킬 것
③
배수를 개선하고 질소질 비료를 균형 시비 하도록 할 것
④
예초된 잔디와 장비(mower) 등을 통한 전염을 예방할 것
정답 : ① 토양 산성화를 방지할 것
112.
옥외 레크레이션 관리체계에서 주요 기능의 부체계 관리요소가 될 수 없는 것은?
①
시설관리(facility management)
②
자원관리(resouce management)
③
이용자관리(visitor management)
④
서비스관리(service management)
정답 : ① 시설관리(facility management)
113.
화학적 반응 및 현상에 의한 토양질소의 변동 과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?
①
탈질작용(denitrification)
②
부동화작용(immobilization)
③
질산화작용(nifrification)
④
세탈작용(washing-out)
정답 : ④ 세탈작용(washing-out)
114.
수목의 병해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는 것은?
①
자낭균에 의한 빗자루병은 벚나무류는 걸리지 않는다.
②
그을음병은 진딧물이나 깍지벌레의 배설물에 곰팡이가 기생하여 생긴다.
③
포플러 잎 녹병은 5~6월에 여름포자가 발생하여 8월 말까지 계속 반복 전염된다.
④
잣나무털녹병은 병든 가지나 줄기 수피는 노란색 또는 갈색으로 변하면서 부푼다.
정답 : ① 자낭균에 의한 빗자루병은 벚나무류는 걸리지 않는다.
115.
다음 중 조경작업장에서 기계사용 관련 재해 발생 시 조치 순서 중 긴급처리의 내용으로 볼 수 없는 것은?
①
현장보존
②
잠재위험요인 적출
③
재해자의 응급조치
④
관련 기계의 정지
정답 : ② 잠재위험요인 적출
116.
미끄럼판에 사용되는 F.R.P 제품의 일반적 성질 중 물리적 성질이 아닌 것은?
①
내열성
②
압축강도
③
인장강도
④
내약품성
정답 : ④ 내약품성
117.
다음 특징의 병해가 주로 발생하는 수목은?
- 병에 걸린 잎 모습이 마치 불에 구어 부풀어 오른 찰떡과 같다고 해서 ‘떡병 ’이라 한다. - 나무의 건강에 피해 주기보다 주로 미관에 해를 주어 미관훼손 식물병이다. - 5월 초순경부터 어린잎, 새순, 꽃망울의 일부 또는 전체가 두껍게 부풀어 오르면서 부드러운 다육질 혹을 만드는데, 그 모양은 불규칙하며 일정하지 않다. |
①
철쭉
②
개나리
③
사철나무
④
느티나무
정답 : ① 철쭉
118.
다음 중 유희시설과 관련된 설명으로 가장 부적합한 것은?
①
이용자를 고려하여 정적인 놀이시설과 동적인 놀이시설은 함께 배치하여 관리한다.
②
유희시설의 면모서리, 구석모서리는 둥글게 처리하거나 모따기를 한다.
③
그네, 회전무대 등 충돌의 위험이 많은 시설은 보행동선과 놀이동선이 상충 되거나 가로지르지 않도록 배치한다.
④
시설조립에 사용되는 긴결재는 규정된 도구로만 해체가 가능해야 한다.
정답 : ① 이용자를 고려하여 정적인 놀이시설과 동적인 놀이시설은 함께 배치하여 관리한다.
119.
지주목 관리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는 것은?
①
결속 끈은 탄력성이 있는 것으로 하고, 일정한 주기로 고쳐 묶기를 해야 한다.
②
가로수 지주목의 횡목(橫木)은 차도와 평행하게 설치하는 것이 좋다.
③
지주목 자체도 통일미와 반복미를 가지므로 재료와 규격을 통일하는 것이 좋다.
④
인공지반에 식재하는 수고 1.2m 이상의 수목은 활착 및 지반의 안정을 위해 1년 후 지지시설을 철거하여야 한다.
정답 : ④ 인공지반에 식재하는 수고 1.2m 이상의 수목은 활착 및 지반의 안정을 위해 1년 후 지지시설을 철거하여야 한다.
120.
조경운영 관리방식 중 직영방식과 비교한 도급방식의 단점에 해당하는 것은?
①
인사정체가 되기 쉽다.
②
전문가를 합리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.
③
인건비가 필요 이상으로 들게 된다.
④
책임의 소재나 권한의 범위가 불명확하게 된다.
정답 : ④ 책임의 소재나 권한의 범위가 불명확하게 된다.
조경기사 기출문제를 비롯하여 더 많은 국가기술자격증 기출문제 및 문제풀이는 문제풀이닷컴 홈페이지(https://quz.co.kr/)에서 이용가능합니다.
'조경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조경기사 필기 기출문제 - 오늘의 문제풀이(20190404) (0) | 2019.04.04 |
---|---|
조경기사 필기 기출문제 해설 인강으로 한달안에 합격해보세요. (0) | 2019.03.27 |
2018년 2회 조경기사 필기 기출문제 (0) | 2018.12.07 |
조경기사 · 산업기사 실기 설계 동영상 강의 안내 (0) | 2018.09.15 |
2017년 4회 조경기사 필기 기출문제 (0) | 2018.06.26 |